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100%·120%·150% 50% 60% 80% 의미

by 컴브릿지 2025. 8. 11.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급 인상 의미 100%·120%·150% 50% 60% 80% 의미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수준인 6.51% 인상됩니다.
특히 1인 가구는 +7.2%, 4인 가구는 +6.51% 오르면서,
복지제도·금융지원 대상이 크게 넓어질 전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100%, 120%, 150% 50% 60% 80%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가구원 수별 실제 금액과 활용 사례까지 정리하겠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해당하는 금액
  • 매년 8월,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고시
  • 80여 개 복지사업과 금융·주거 지원 제도의 대상 기준으로 활용

중위소득이 오르면

  • 복지 수급 가능 대상자 범위 확대
  • 지급 금액 인상
  • 기존에 탈락했던 가구가 새롭게 포함될 수 있음

 

2. 2026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

 

가구원수 2025년 2026년 인상률
1인 239만 2,013원 256만 4,238원 +7.2%
2인 399만 3,292원 419만 9,292원 +5.15%
3인 515만 9,036원 535만 9,036원 +3.87%
4인 609만 7,738원 649만 4,738원 +6.51%
5인 755만 6,719원 755만 6,719원 변동 없음
6인 855만 5,952원 855만 5,952원 변동 없음
 

100% 의미
기준 중위소득 100%는 ‘중간값’ 자체를 뜻합니다.
이 금액을 기준으로 각종 비율(%)을 곱해 복지 자격 기준을 산출합니다.

 

3. 120%·150%의 의미와 금액

120%

  • 중위소득의 1.2배
  • 주로 청년·신혼부부 주거 지원 등 일부 금융상품, 보조금 대상 기준
  • 예) 4인 가구 120% = 649만 4,738원 × 1.2 = 779만 3,685원

150%

  • 중위소득의 1.5배
  • 각종 긴급복지, 보육·돌봄 서비스, 금융 지원에서 상한선으로 사용
  • 예) 4인 가구 150% = 649만 4,738원 × 1.5 = 974만 2,107원

 

가구원 수 100% 120% 150%
1인 256만 4,238원 307만 7,086원 384만 6,357원
2인 419만 9,292원 503만 9,150원 629만 8,938원
3인 535만 9,036원 643만 904원 803만 8,554원
4인 649만 4,738원 779만 3,685원 974만 2,107원
5인 755만 6,719원 906만 8,063원 1,133만 5,079원
6인 855만 5,952원 1,026만 7,142원 1,283만 3,928원
 

50%·60%·80% 금액표

계산 방식

  • 50% = 100% × 0.5
  • 60% = 100% × 0.6
  • 80% = 100% × 0.8
가구원 수  100% 50% 60% 80%
1인 2,564,238원 1,282,119원 1,538,543원 2,051,390원
2인 4,199,292원 2,099,646원 2,519,575원 3,359,434원
3인 5,359,036원 2,679,518원 3,215,422원 4,287,229원
4인 6,494,738원 3,247,369원 3,896,843원 5,195,790원
5인 7,556,719원 3,778,360원 4,534,031원 6,045,375원
6인 8,555,952원 4,277,976원 5,133,571원 6,844,762원
 

비율별 의미

  • 50% → 교육급여 등 일부 복지제도의 상한선
  • 60% → 청년·신혼부부 주거지원, 일부 금융지원 기준
  • 80% → 일부 긴급복지·건강보험 경감 혜택 기준

4. 복지급여·지원 기준 비율 예시

  • 32% → 생계급여
  • 40% → 의료급여
  • 48% → 주거급여
  • 50% → 교육급여
  • 100% → 중위값 자체
  • 120~150% → 주거·금융·돌봄 서비스 등 완화 기준

예) 4인 가구 기준

  • 32% = 207만 8,316원 (생계급여)
  • 50% = 324만 7,369원 (교육급여)
  • 150% = 974만 2,107원 (다수 금융·복지 지원 상한)

 

5. 150% 기준 활용 사례

  • 청년 전세자금 대출: 150% 이하 가구 대상 보증금·이자 지원
  • 신혼희망타운·특별공급: 130~150% 이하 가구 우선공급
  • 아이돌봄 서비스: 150% 이하 가구 요금 경감
  • 긴급복지지원제도: 위기 상황 시 150% 이하 가구 생활지원금 지급

 

6. 인상의 의미

2026년 인상률(4인 가구 +6.51%)은 최근 5년 중 최고 수준이며,
이는 고물가·경기침체 속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부 의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실제 영향

  • 복지·금융지원 대상자 증가
  • 급여 금액 상향
  • 기존 탈락 가구의 재진입 가능성

 

정리

  • 100%: 중위값, 복지 기준의 출발점
  • 120%: 일부 금융·주거지원 상한
  • 150%: 돌봄·긴급복지·특별공급 등 완화기준
  • 인상폭이 클수록 더 많은 가구가 혜택 범위 안으로 들어옴

 

정리 및 마무리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급 인상으로 인해 각 비율별 금액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50%·60%·80% 각각은 교육비 지원, 주거·금융 지원, 건강보험 경감 등 다양한 복지제도와 금융상품의 기준선으로 활용됩니다.

이번 인상으로 인해 그동안 소득 기준에서 조금 넘어서 탈락했던 가구들도 새롭게 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지로 모의계산이나 주민센터 상담을 통해 본인의 가구 소득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반드시 확인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올해는 “나는 해당이 안 될 거야”라는 생각을 버리고,
한 번 더 확인해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빠짐없이 챙기는 것이 가장 현명한 재테크입니다.

 

 

 

 

손흥민 이적 이유 LAFC 입단 연봉 계약 조건 해외반응 총정리

손흥민 이적 이유 LAFC 입단 연봉 계약 조건 해외반응 총정리 "토트넘의 태양, 이제는 미국의 별이 되다"한국 축구의 간판스타 손흥민이 미국 MLS 명문 LAFC(Los Angeles FC)에 공식 입단했습니다.이번

combridge.tistory.com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한도 방법 금액 기간 기부금 기준 총정리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한도 방법 금액 기간 기부금 기준 총정리 최근 세액공제와 지역 특산물 혜택으로 입소문이 난 제도가 있죠?바로 고향사랑기부제입니다.2025년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관

combridge.tistory.com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 기간 경품 받기 참여 방법 과태료

2025 주민등록 사실조사 비대면 기간 경품 받기 참여 방법 과태료 매년 이맘때면 찾아오는 주민등록 사실조사.2025년에도 어김없이 시작되었고, 이번에는 비대면 조사 방식이 더욱 편리하게 개선

combridge.tistory.com

 

 

어르신스포츠상품권 신청방법 65세부터 최대 15만원 지원!

어르신스포츠상품권 신청방법 65세부터 최대 15만원 지원!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어르신이라면, 지금 바로 ‘어르신스포츠상품권’ 신청하세요!최대 15만원까지 지원받아 헬스장, 수영장,

combridge.tistory.com

 

 

미우새 한옥스테이 경주 숙소 및 한의원 위치·예약 방법ㅣ김준호 김지민 신혼여행

미우새 한옥스테이 경주 숙소 및 한의원 위치·예약 방법ㅣ김준호 김지민 신혼여행 SBS 에서 공개된 김준호·김지민 부부의 경주 신혼여행,그 중심에는 감성 가득한 한옥스테이 숙소와 특별한 의

combridge.tistory.com